본문으로 건너뛰기

1. 의무가입기간과 만기

1.1 의무가입기간이란

  • ISA는 2021년부터 의무 가입 기간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
  • ISA 의무 가입 기간을 3년으로 정하고, 의무 가입 기간이 지났다면 만기 이전에 중도 해지하더라도 비과세와 분리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

1.2 만기

  • 만기는 3년에서 9999년 사이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
  • 만기는 최대한 길게 9999년으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(이유는 아래서 설명합니다)
  • 만기연장은 만기일 90일 전부터 만기일 전 영업일까지만 가능합니다 (만기일부터 연장 불가)

2. 만기 유의사항

2.1 만기 후 30일 이내 조치

  • ISA 계좌 만기 후 30일 이내에 모든 금융 상품을 매도/환매해야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
  • 만약 만기 후 30일을 넘기면?
    • 일반 계좌로 전환되어 세제 혜택이 사라지고 일반과세(15.4%)가 적용됩니다
    • 비과세 혜택도 받을 수 없습니다
만기연장 관리 필수

세제 혜택을 최대한 길게 받으려면 ISA 계좌의 만기연장 관리가 필수입니다.

  • 계좌 개설 시: 만기를 최대한 길게(9999년) 설정하는 것을 권장합니다
  • 만기 도래 시: 주식 시장 폭락 등으로 상품 매도가 어려운 상황이라면 미리 만기연장을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

2.2 만기 연장

연장 가능 기간

  • 만기일 90일 전부터 만기일 전 영업일까지만 연장 가능합니다
  • 만기일 당일부터는 연장이 불가능합니다
서민형 가입자 주의사항

만기 연장 시 서민형 가입자가 일반형으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.

  • 서민형 비과세 한도: 400만원
  • 일반형 비과세 한도: 200만원

일반형으로 전환되면 비과세 한도가 줄어들므로, 이 경우 ISA를 해지하고 재가입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.

2.3 금융상품 만기와 계좌 만기

  • ISA 계좌에 담긴 금융상품의 만기가 계좌 만기를 넘어서는 경우, 계좌 만기를 연장해야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
  • 만기가 있는 상품 예시
    • 채권
    • ELS (주가연계증권)
    • RP (환매조건부채권)
    • 일부 ETF
예시

ISA 계좌 만기가 2026년 12월 31일인데, 2027년 6월 만기 채권을 보유하고 있다면?

→ ISA 계좌 만기를 2027년 6월 이후로 연장해야 채권 만기 시 발생하는 수익에 대해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3. 만기 설정 팁

3.1 만기를 길게 설정해야 하는 이유

앞서 설명한 만기 유의사항을 보면 만기를 최대한 길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3.2 만기를 짧게 설정할 경우 문제점

  • ISA 계좌 만기 후 30일 이내에 모든 금융 상품을 매도/환매해야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시장 상황에 따라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
  • 만기 연장은 정해진 기간 내에만 가능하기 때문에 만기 연장을 할 수 없을 수 있습니다
  • 금융상품 만기가 계좌 만기를 넘어서는 경우,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

3.3 권장 만기 설정 전략

  •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기를 최대한 길게 설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
  • 만기를 9999년으로 설정하고 의무 가입 기간이 지나 필요할 때 해지를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

4. 해지 시점

4.1 기본 원칙

  • 앞서 만기 시점을 9999년으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했습니다
  • 따라서 이제 해지 시점은 의무 가입 기간이 지난 후 필요할 때 해지하면 됩니다
  • 그렇다면 언제 해지를 해야 될까요?

4.2 비과세 한도 초과 여부 확인

먼저 ISA에 발생한 이자와 배당수익이 비과세 한도를 초과했는지를 살펴야 합니다.

ISA 비과세 한도 적용 기준

ISA 비과세 한도는 총 가입 기간을 기준으로 적용됩니다.

  • 일반형 ISA의 비과세 한도 200만원은 매년 200만원씩 비과세한다는 뜻이 아닙니다
  • 가입 이후 만기 때까지 발생한 손익을 통산해 200만원까지 비과세한다는 의미입니다

예시:

  • ISA 가입 후 3년이 지났고, 해당 계좌에서 발생한 손익을 통산해 수익이 200만원을 넘었다면?
  • → 해지하고 다시 가입해야 비과세 혜택을 더 받을 수 있습니다

4.3 손실이 발생한 경우

반대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.

  • ISA 만기가 도래할 즈음에 여태껏 계좌에서 발생한 이익보다 손실이 더 클 수도 있습니다
  • 이렇게 순손실이 난 계좌는 만기 때 바로 해지하기보다는 만기를 연장한 다음 비과세 한도를 채우고 나서 재가입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
해지 시점 전략

수익이 비과세 한도를 초과한 경우:

  • 의무 가입 기간(3년) 이후 비과세 한도를 초과하면 해지하고 재가입하세요
  • 일반형: 200만원 초과 시
  • 서민형: 400만원 초과 시

손실이 발생한 경우:

  • 만기를 연장하여 비과세 한도를 채운 후 재가입하세요
  • 손실 상태에서 해지하면 비과세 혜택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합니다

4.4 해지 시 주의사항

  • 의무 가입 기간(3년) 이전에 해지하면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
  • 해지 후 즉시 재가입이 가능하므로, 비과세 한도를 초과했다면 빠르게 재가입하는 것이 유리합니다

참고